웹프로그래밍/기초
-
HTTP 요청과 응답 그리고 서블릿 정리웹프로그래밍/기초 2018. 12. 2. 20:49
HTTP란?서버와 클라이언트의 통신규약클라이언트(웹 브라우저)가 HTTP 요청을 웹 서버에 전송하면웹서버는 그 요청을 처리해서 다시 웹브라우저에 HTTP 응답을 보낸다. HTTP is Stateless서버는 다수의 요청을 받는 동안 각각의 유저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지 않는다. 모든 요청은 독립적으로 처리된다.http 요청에는 이전 또는 이후 요청에 대한 정보가 없다. 하지만 현재 요청을 서버가 처리하는데 필요한 모든 정보를 담고 있다.웹 어플리케이션이 유저 정보를 저장하려면 세션, 쿠키를 사용한다. 요청(request)GET단순히 서버에게 자원을 요청하는 방식브라우저 주소창에 데이터를 입력하므로 길이 제한이 있고 전송하는 정보가 URL에 그대로 드러난다.POST서버에게 자원 요청과 함께 필요한 정보를 넘..
-
-
웹 요청 처리에 대한 기본지식웹프로그래밍/기초 2018. 6. 10. 17:07
웹 요청 처리에 대한 기본지식 페이지 스코프: 페이지 스코프에 있는 객체는 각 페이지의 javax.servlet.jsp.PageContext에 저장되고, 객체를 생성한 JSP를 통해서만 접근할 수 있다. 클라이 언트에 응답을 보 내거나 페이지를 다른 자원에 포워딩하면 관련된 객체를 더 이상 사용하지 못하게 된다. JSP는 pageContext라는 객체 참조 값을 가지고 있다. 이러한 참조 값은 JSP 가 생성될 때 자동으로 생성되며, pageContext를 통해 페이지 단계의 객체를 담고 가져올 수 있다. 페이지 스코프 역시 getAttribute ( ) , setAttribute ( ) 메소드가 있으며 다른 스코프와 비슷한 역할을 수행한다. 요청 스코프: 서버는 클라이언트의 HTTP 요청이 있을 때 j..
-
세션(session)과 쿠키(cookie)웹프로그래밍/기초 2018. 6. 9. 17:58
세션(session)?웹 서버측에서 사용자 정보를 저장하기 위해 사용하는 객체.클라이언트의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쿠키와 차이점이 있다면, 세션은 웹 브라우저가 아니라 서버에 값이 저장된다는 점이다. 세션 ID컨테이너는 웹 브라우저마다 세션을 생성한다. 그리고 수 많은 웹브라우저의 세션을 구분하기 위해서웹 브라우저의 최초 요청 시 컨테이너는 유일한 세션 ID를 부여하고 응답으로 보낸다.이후 웹 브라우저의 요청시 세션 ID를 함께 보내서 해당하는 세션을 연결한다.기본적으로 세션 ID는 쿠키에 저장된다. 만약 웹 브라우저가 쿠키를 사용하지 않도록 설정 했다면 세션ID를 저장할 수 없다. URL-재작성쿠키를 사용할 수 없을 경우, 요청 URL마다 세션ID를 파라미터로 추가해주는 방법으로 JSP 같은 동적인 ..
-
웹프로그래밍과 데이터베이스 관련내용 정리웹프로그래밍/기초 2018. 4. 14. 16:00
웹 프로그래밍과 데이터베이스 웹 프로그래밍에서 데이터베이스 사용은 필수적이다. (예를 들어, 쇼핑몰 사이트의 회원정보, 주문내역 저장) 데이터베이스 자체에는 기능이 많지 않으므로 DBMS를 이용한다. 데이터베이스를 관리하는 시스템을 DBMS이라고 하며 하위 개념인 RDBMS로는 오라클, MySQL, MS SQL 등이 있다. DBMS의 주요 기능은 아래와 같다.데이터 추가/조회/변경/삭제데이터의 무결성 유지트랜잭션 관리데이터의 백업 및 복원데이터 보안 자바 웹 프로그램에서 데이터베이스를 사용하려면 어떤 사전 작업을 해야 할까? 자바와 데이터베이스를 연동하려면 JDBC(Java DataBase Connectivity) API에 대해서 알아야한다. 이 API는 자바에서 데이터베이스 관련 작업을 처리할 수 있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