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OUT ME

-

Today
-
Yesterday
-
Total
-
  • 파이썬 함수 요약정리
    파이썬 2017. 11. 19. 17:31

    함수를 사용하는 이유는 무엇일까?

    프로그래밍을 하다 보면 똑같은 내용을 반복해서 작성하고 있는 자신을 발견할 때가 종종 있다. 이때가 바로 함수가 필요한 때이다. 즉, 반복되는 부분이 있을 경우 "반복적으로 사용되는 가치 있는 부분"을 한 뭉치로 묶어서 "어떤 입력값을 주었을 때 어떤 결과값을 돌려준다"라는식의 함수로 작성하는 것이 현명하다.


    함수를 사용하는 또 다른 이유는 자신이 만든 프로그램을 함수화하면 프로그램의 흐름을 일목요연하게 볼 수 있기 때문이다. 마치 공장에서 원재료가 여러 공정을 거쳐 하나의 상품이되는 것처럼 프로그램에서도 입력한 값이 여러 함수들을 거치면서 원하는 결과값을 내는 것을 볼 수 있다. 이렇게 되면 프로그램의 흐름도 잘 파악할 수 있고 에러가 어디에서 나는지도 금방 알아차릴 수 있다. 함수를 잘 이용하고 함수를 적절하게 만들 줄 아는 사람이 능력 있는 프로그래머이다.


    파이썬 함수의 구조는 다음과 같다.

    def 함수명(입력 인수):
        <수행할 문장1>
        <수행할 문장2>

    def는 함수를 만들 때 사용하는 예약어이며, 함수명은 함수를 만드는 사람이 임의로 만들 수 있다. 함수명 뒤 괄호 안의 입력 인수는 이 함수에 입력될 값이란 뜻이다. 이렇게 함수를 정의한 다음 if, while, for문 등과 마찬가지로 함수에서 수행할 문장들을 입력한다.

    여기서 return은 함수의 결과값을 돌려주는 명령어이다. 


    >>> def sum(a, b): ... return a+b ... >>>

    >>> a = 3 >>> b = 4 >>> c = sum(a, b) >>> print(c) 7


    def sum(a, b): result = a + b return result

    >>> a = sum(3, 4) >>> print(a) 7


    >>> def say(): ... return 'Hi' ... >>>

    >>> a = say() >>> print(a) Hi


    >>> def sum(a, b): ... print("%d, %d의 합은 %d입니다." % (a, b, a+b)) ... >>>

    >>> sum(3, 4) 3, 4의 합은 7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