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
-
파이썬 - 리스트, 튜플, 세트파이썬 2017. 11. 27. 22:50
>>> #list 만드는 법>>> empty_list = []>>> empty_list = list() >>> #튜플 만드는 법>>> empty_tuple = ()>>> empty_tuple = tuple() >>> #세트 만드는 법>>> empty_set = set() 튜플튜플 속 항목은 수정이 안되고 읽기만 가능하다. 세트1.순서가 없다. (실행 시마다 자료 순서가 바뀜) >>> player_names = {'martial', 'dybala', 'sanchez', 'hazard'}>>> >>>print(player_names){'hazard', 'martial', 'dybala', 'sanchez'} 2. 중복 항복을 제거한다. (두 세트의 중복되는 값을 제거할때 유용) >>> player_names..
-
파이썬 - 포맷팅 예시파이썬 2017. 11. 26. 21:25
>>> person = {'name': 'jenn', 'age': 23}>>> sentence = 'my name is {} and i am {} years old.'.format(person['name'], person['age'])>>> print(sentence)my name is jenn and i am 23 years old. >>> person = {'name': 'jenn', 'age': 23}>>> sentence = 'my name is {0[name]} and i am {0[age]} years old.'.format(person)>>> print(sentence)my name is jenn and i am 23 years old. >>> l = ['jenn', 23]>>> senten..
-
파이썬 - 데이터 분류 함수파이썬 2017. 11. 26. 18:13
-리스트, 튜플, 딕셔너리 등의 데이터를 분류할때, sorted 함수와 .sort 메소드를 쓴다. ※sort메소드는 값을 return하지 않는다.메소드는 튜플,딕셔너리 등 데이터에 쓸 수 없다. 오직 리스트만 가능 -sorted 함수 >>> list = [6,1,3,5,4,9,2]>>> s_list = sorted(list) #순서를 반대로, sorted(list, reverse=True)>>> >>> print(s_list)[1, 2, 3, 4, 5, 6, 9] -튜플 >>> list_t = (6,1,3,5,4,9,2)>>> s_list_t = sorted(list_t)>>> print(s_list_t)[1, 2, 3, 4, 5, 6, 9]>>> -딕셔너리 >>> dic = { 'name': 'bob'..
-
파이썬 정규표현식/ ZIP, SET함수 , YIELD제너레이터파이썬 2017. 11. 26. 13:22
>>> nums = [1,2,3,4,5,6,7]>>> >>> my_list=[n for n in nums] #my_list = [] #for n in nums: my_list.append(n) >>> print(my_list)[1, 2, 3, 4, 5, 6, 7] >>> nums = [1,2,3,4,5,6,7] >>> my_list = [n*n for n in nums] #my_list = [] #for n in nums: my_list.append(n*n) >>> print(my_list)[1, 4, 9, 16, 25, 36, 49] >>> nums = [1,2,3,4,5,6,7,9,10] >>> #my_list = []>>> #for n in nums: if n % 2 == 0:my_list.appe..
-
파이썬으로 파일 이름 일괄 수정하기파이썬 2017. 11. 25. 16:04
import os #os는 파이썬이 내 컴퓨터 파일에 접근할 수 있게 해주는 모듈 a=os.chdir('C:\\users\admin\Desktop\example') for f in os.listdir(): #print(os.path.splitext(f)) -> print 함수로 출력하면서 오류 유무 확인 f_name, f_ext = os.path.splitext(f) f_title, f_tag = f_name.split("-") # split("-")) -> 파일명을 '빈칸' 기준으로 나눠줌 f_title=f_title.strip() f_tag=f_tag.strip()[1:].zfill(2) #strip() 빈칸 제거 #zfill() 0을 추가, 파일 번호순 정리시 유용 #print('{}-{}{}'.f..
-
파이썬 함수 요약정리파이썬 2017. 11. 19. 17:31
함수를 사용하는 이유는 무엇일까?프로그래밍을 하다 보면 똑같은 내용을 반복해서 작성하고 있는 자신을 발견할 때가 종종 있다. 이때가 바로 함수가 필요한 때이다. 즉, 반복되는 부분이 있을 경우 "반복적으로 사용되는 가치 있는 부분"을 한 뭉치로 묶어서 "어떤 입력값을 주었을 때 어떤 결과값을 돌려준다"라는식의 함수로 작성하는 것이 현명하다. 함수를 사용하는 또 다른 이유는 자신이 만든 프로그램을 함수화하면 프로그램의 흐름을 일목요연하게 볼 수 있기 때문이다. 마치 공장에서 원재료가 여러 공정을 거쳐 하나의 상품이되는 것처럼 프로그램에서도 입력한 값이 여러 함수들을 거치면서 원하는 결과값을 내는 것을 볼 수 있다. 이렇게 되면 프로그램의 흐름도 잘 파악할 수 있고 에러가 어디에서 나는지도 금방 알아차릴 수..
-
파이썬 문장구조 요약정리2(for)파이썬 2017. 11. 18. 23:56
for문while문과 비슷한 반복문인 for문은 매우 유용하고 문장 구조가 한눈에 쏙 들어온다는 장점이 있다. for문을 잘 사용하면 프로그래밍이 때때로 즐거워질 것이다. for 변수 in 리스트(또는 튜플, 문자열): 수행할 문장1 수행할 문장2 ... 리스트나 튜플, 문자열의 첫 번째 요소부터 마지막 요소까지 차례로 변수에 대입되어 "수행할 문장1", "수행할 문장2" 등이 수행된다. >>> test_list = ['one', 'two', 'three'] >>> for i in test_list: ... print(i) ... one two three 다양한 for문의 사용 >>> a = [(1,2), (3,4), (5,6)] >>> for (first, last) in a: ... print(fir..
-
파이썬 문장구조 요약정리1 (If, while)파이썬 2017. 11. 18. 23:08
if문 (if, else) >>> money = 1 >>> if money: ... print("택시를 타고 가라") ... else: ... print("걸어 가라") ... 택시를 타고 가라 조건문을 테스트해서 참이면 if문 바로 다음의 문장(if 블록)들을 수행하고, 조건문이 거짓이면 else문 다음 의 문장(else 블록)들을 수행하게 된다. 그러므로 else문은 if문 없이 독립적으로 사용할 수 없다.if문을 만들 때는 if 조건문: 바로 아래 문장부터 if문에 속하는 모든 문장에 들여쓰기(indentation)를 해주어야 한다. [조건문 다음에 콜론(:)을 잊지 말자!] 자료형 참 거짓 숫자 0 제외한 숫자 0 문자열 "abc" "" 리스트 [1,2,3] [] 튜플 (1,2,3) () 딕셔너리..